[지킴]셋째까지 돌잔치 한다는 계산적인 친구

반응형




 원본

중학교 때부터 친구였고

거의 안보다시피 하다가 저 결혼하고 연락이 와서 한번씩 안부묻고 지냅니다.


친구가 저보다 아이를 2년 먼저 낳았지만 결혼식은 안올렸다더라구요.

돌잔치는 한걸로 아는데 그 후에 연락이 된거라 참석도 선물도 안했어요.

친구도 제 결혼식 땐 참석 못했구요.


연락이 된 후 제 아이 돌잔치가 있었고

친구는 남편과 아이와 셋이 참석했으며 5만원 축의했어요

얼마 후 본인 결혼식이 있다고 이야기가 나왔고

저도 결혼식 참석했지만 남편과 아이 같이 가서 10만원 축의했습니다.

그로부터 몇해 지나고 친구가 둘째를 낳았고 

제 개인적인일로 바로는 못 가보고 둘째아기 100일쯤 가서 출산선물과 함께 점심 사주었어요

그리고 둘째 돌잔치도 한다기에 참석했고 그땐 아이와 둘만 가게되어서 5만원 축의했습니다.


그러다 제가 둘째 아이를 임신하고 출산했구요.

친구도 바로는 안오고 아이 100일쯤 와서 출산선물 주었어요

그때도 사실 본인집에서 우리집이 멀다고 택시비 많이 나온다면서 버스 타고 와야하니 중간에서 만나자하더군요.

아기데리고 버스타면 불편하고 힘드니까 다음에 보자 했음에도 굳이 온다고해서 저도 100일 아기데리고 나가 중간지점에서 만났고

출산선물 받고 밥은 미안한마음에 제가 샀고

집에 갈때도 택시비 많이 나오네 힘드네 툴툴거려서 제 차로 집까지 데려다주었습니다.

여튼 그땐 그게 서운하고 화나고 이런정도가 아니었구요.


저는 둘째아이 돌잔치를 안했어요.

정말정말 친한 베프들이랑 친구카페에서 파티식으로 출장돌상만 차려서 먹고 놀았거든요

돌잔치 안하냐고 부르라고 했던 몇몇 지인들에겐 돌잔치는 아니고 식구들이랑 간단히 파티한다고만 이야기했었고 그 친구도 알고있어요 


당연히 돌잔치를 안했기 때문에 선물이나 봉투를 받아야한다고 생각하지 않았었는데

몇몇 지인들은 따로 고맙게도 선물도 주고 하시더라구요

그 친구는 둘째 돌 축하한다고 연락이 와서 고맙다고 인사했는데 이야기 나누는 도중에 그럽니다.

너나 나나 이제 행사는 끝이네 ~~ 돌잔치 안했으니 계산도 끝이당~~ 이러는 겁니다.

무슨 계산이냐고 물었더니

서로 행사 있을 때 주고 받고 하지 않았냐는 겁니다.

전 솔직히 내가 어떤 행사에 얼마를 줬는지 신경쓰고 살지 않아서 그 말이 의아했어요

그래서 그냥 아 그래 이러고 말고 전화를 끊었는데

너무 황당하더라구요


그래서 도대체 친구가 말한 계산이 뭔가 싶어서

위에 쓴것처럼 나열해 보았더니

그래도 제가 한번 덜 받았네요?

친구는 결혼식.둘째 출산선물.돌잔치 세번이나 받았고

전 큰애 돌잔치.둘째 출산선물 두번 받았으니까요

그거 나열해 놓고 얼마나 얼빠지게 웃었나몰라요 ㅎㅎ

진짜 황당하고 어이없었지만

뭐 그런사람도 있겠지 하구서 넘기고 말았는데

그로부터 몇개월 뒤 셋째 임신했다고 연락이 왔어요 ㅋㅋㅋㅋㅋㅋ

톡으로만 인사나누고

한참 후 친구는 출산을 하고 ~~

그때도 톡으로만 인사했구요.

계산 운운한 뒤로 영 친구같지가 않고 그래서 가보고싶지도 않았어요

어영부영 연락도 하는둥 마는둥 했는데

오늘 오전에 톡이 왔어요

넌 셋째 낳을 생각없어? 라구요.

응 없어 하고 간단히 답하니

그래도 또 몰라 나처럼 덜컥 생길지두 ~~

그러니 돌잔치 와줘 ~~ 이럽니다 ㅎㅎㅎㅎ

왜 가야해? 계산 끝이라며 라고 답하니까

사람일은 모르는거라데요 ㅋㅋ

그래서 말해줬어요 너가 말한 계산도 틀렸더라

넌 세번 받고 난 두번 받았더라 하니

정말 당당하게도 넌 둘째 돌잔치 안했잖아 ~

라고 하더군요.

돌잔치를 안했으니 선물도 안하는거라구요

그것도 맞는말이긴하네 싶어서 ㅎㅎ

제가 아 그런거니 그럼 알겠어 난 셋째 낳을 생각 전혀 없으니까 돌잔치는 안갈게

미리축하해 ^^ 하고 보내고 그 뒤론 뭐라 왔는데 읽진 않았네요.


글을 써놓고 보니 저도 결국은 계산적인 사람이 되긴했는데

친구한테 너무 실망이에요

그래도 몇 남지않은 중학교친구였는데 그러려니하고 넘겼어야했나 싶구요

그치만 돌잔치는 정말 가고싶지 않아요.

또 다른 중학교 친구도 이 내용을 다 알고 있는데

자기한테도 그렇게 계산적이라고 잘했다고 합니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





https://www.facebook.com/zikim.tistory/

페이스북 페이지 개설했어요.

팔로우 하시고 계속 자료 받아보세요

반응형